「우크라이나 공여자 공조 플랫폼(MDCP, Multi-agency Donor Coordination Platform for Ukraine)」 제9차 운영위원회가 4.10(수)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개최되었으며, 동 회의에는 강석희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정부대표가 참석했다. 이번 회의는 올해 2월 우리나라가 MDCP에 가입한 후 대면으로 개최된 첫 운영위원회이다. ※ 우크라이나 공여자 공조 플랫폼(MDCP) : 2023.1월 출범한 우크라이나 핵심 공여자간 협의체로, G7 회원국, EU 집행위, 우크라이나, 국제금융기구(세계은행, 국제통화기금, 유럽부흥개발은행 등)가 참여해왔으며, 올해 2.14. 화상으로 개최된 제8차 운영위원회에서 한국, 네덜란드, 노르웨이, 스웨덴 등 4개국의 신규 회원국 가입 결정 ※ 제9차 운영위 주요 참석자 : (공동의장) EU 집행위 Jan Koopman 인근확대총국장, 우크라이나 Sergii Marchenko 재무부장관, 미국 Daleep Singh 국가안전보장회의(NSC) 국제경제 부보좌관 (참석자) G7 회원국, 한국, 네덜란드, 노르웨이, 스웨덴(이상 회원국)/덴마크, 에스토니아, 라트비아, 리투아니아, 폴란드, 스페인, 벨기에, 핀란드, 스위스(이상 옵저버) 이번 회의에 참석한 주요 공여 국가 및 기관들은 우크라이나 재건·복구 지원에 대해 변함없는 지지를 표명하고, 2024-25년 우크라이나 재정 지원 방향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. 참석자들은 동 공동성명을 통해 △우크라이나의 에너지 인프라 보호 및 대체전력 수단 확보 등 2024년 긴급복구 수요에 기여하고, △차기 우크라이나 복구회의(`24.6월, 베를린)에서 민간기업으로 구성된 기업자문위원회(Business Advisory Council)를 출범시키기로 합의했다. 또한, 참석자들은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확보하기 위한 우크라이나 정부의 개혁 의지와 노력을 평가하는 한편, 국제사회 지원의 효과성 제고 및 민간 부문의 재건·복구 과정 참여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. 우리측은 지난 해 7월 윤석열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방문 계기 발표한 ‘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’ 이행 차원에서 인도적 지원과 한국이 강점을 갖는 인프라, 보건의료,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중장기 재건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. ※ 한-우크라이나 정상회담(‘23.7월) 계기, 한국의 對우크라이나 안보, 인도, 재건 지원을 포괄하는 ’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‘ 발표 ※ G20 정상회의(’23.9월) 계기, 금년도 對우크라이나 3억 불 추가 지원 및 2025년 이후 20억 불 이상의 중장기 지원 패키지 발표 차기 MDCP 운영위원회는 금년 6월 베를린에서 개최되는 ’우크라이나 복구회의(Ukraine Recovery Conference)’ 시 개최될 예정이다. 붙임 : 회의 사진. 끝.[자료제공 :(www.korea.kr)]